사자성어 퀴즈 쉬운 고사성어 모음 한자 유래
사자성어 퀴즈 쉬운 고사성어 모음 한자 유래
오늘은 쉬운 사자성어 모음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자성어(고사성어), 속담 등 꼭 알아야 할 정보까지는 아니지만 기본 상식으로 알고 있어야 할 사자성어 모음을 가지고 왔습니다. 어려운 사자성어는 잘 모르더라도 누구나 알고 있는 쉬운 사자성어는 알아두면 어디서든 쓸모가 있습니다.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는 초등학생들이 공부할만한 내용으로 준비했으니 참고해서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 계란유골
鷄卵有骨
"계란에도 뼈가 있다" 운이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일이 잘 풀리지 않음을 의미함
유래
조선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황희 정승과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황희 정승은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로 유명했는데, 어느 날 마침내 닭이 알을 낳아 기뻐했습니다. 하지만 아내가 삶다가 깨뜨려 먹지 못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2. 감탄고토
甘呑苦吐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자신의 이익이나 입맛에 따라 사리의 옮고 그림을 판단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말입니다.
3. 개과천선
改過遷善
"지난 잘못은 고치고 선한 사람으로 변화한다"
유래
왕길은 어릴 때부터 총명했지만, 탐욕스럽고 방탕한 성격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았습니다. 어느 날, 왕길은 길을 가다 우연히 한 노인을 만났습니다. 노인은 왕길의 상을 보고 그의 미래를 점쳐주었는데, 왕길이 30세가 되면 큰 재앙을 당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왕길은 크게 두려워하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선한 사람이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왕길은 30세가 되기 전까지 끊임없이 노력하여 자신의 성품을 고치고 선행을 쌓았습니다. 그 결과, 왕길은 30세가 되어도 아무런 재앙도 당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훌륭한 관리가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받았습니다.
4. 거두절미
去頭截尾
"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린다" 어떤 일의 핵심만 간단히 말한다는 뜻입니다.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하고 요점만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5. 용두사미
龍頭蛇尾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 시작은 거창하지만 끝이 보잘것없이 초라한 것을 비유한 말입니다. 시작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마무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
송나라 때 불교 서적 <벽암록(碧巖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당시 유명한 선승이었던 진존숙(眞宗肅)이 다른 스님들에게 설법을 하고 있었는데, 한 스님이 화려한 문장으로 말을 시작했지만 점점 내용이 흐릿해지고 논리가 어색해졌습니다.
이를 지켜본 진존숙은 그 스님에게 겉보기에는 용의 머리를 닮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뱀의 꼬리인지도 모르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스님은 얼굴을 붉히며 자리를 피했고,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고 "용두사미"라고 비웃었습니다.
6. 온고지신
溫故知新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안다" 라는 뜻입니다.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에서 유래했습니다.
7. 오리무중
五里霧中
"사방 5리 안개가 끼어 앞뒤를 분간 할 수 없음" 짙은 안개 속에서 방향이나 길을 잃어버린 것처럼 미래 상황을 예측하기 어렵거나 어떤 일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울 때 쓰는 말입니다.
유래
후한서(後漢書)의 장해전(張楷傳)에 따르면, 후한시대 학자 장해(張楷)는 뛰어난 학문과 더불어 도술에도 능숙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피하기 위해 사방 5리에 이르는 안개를 일으켰다고 합니다. 이 일화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8. 오매불망
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하다" 라는 뜻입니다. 오매는 잠을 자거나 깨어 있을 때를 뜻하며, 불망은 잊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잠을 자거나 깨어 있을 때도 끊임없이 기억하고 생각한다는 의미입니다.
유래
오매불망은 중국 전국시대 시경(詩經) 주남(周南) 관저(關雎)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시는 주나라 문왕(文王)과 그의 아내 태사의 덕(德)을 칭송하는 내용입니다.
시 속에서 태사는 문왕을 그리워하며 잠을 이루지 못한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것이 오매불망이라는 표현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9. 오비이락
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아무 관계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뜻하는 말입니다. 쉽게 말해 우연의 일치라고 할 수 있으며 오해를 살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경고의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10. 환골탈태
換骨奪胎
"뼈와 태를 바꾸어 완전히 새롭게 변한다" 사람이나 사물이 이전의 모습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게 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11. 명실상부
名實相符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는다" 는 뜻으로 어떤 것이 이름만큼 실제로도 훌륭하거나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2. 문방사우
文房四友
선비들이 서재에서 학문을 연마하는데 늘 사용하던 종이, 붓, 먹, 벼루 네 가지 도구를 뜻하는 말입니다. 문방사우는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선비들에게 학문과 예술의 정수, 고매한 정신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종이(紙):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매개체입니다. 선비들은 종이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담아 표현했습니다.
붓(筆): 먹물을 담아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붓의 굵기와 탄력에 따라 글씨나 그림의 표현이 달라지기 때문에 선비들은 자신에게 맞는 붓을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먹(墨): 붓에 담아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검은색 액체입니다. 먹의 성분과 제조 방법에 따라 색감과 농도가 달라지며, 이는 작품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벼루(硯): 먹돌을 갈아 먹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벼루의 재질과 형태에 따라 만들어지는 먹물의 질감이 달라지기 때문에 선비들은 자신에게 맞는 벼루를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13. 문전성시
門前成市
"대문 앞이 시장바닥을 연상하게 할 만큼 사람들로 북적인다"라는 뜻입니다.
14. 박장대소
拍掌大笑
"박장은 손뼉을 치는 소리, 대소는 크게 웃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즉 사람들이 매우 재미있어서 웃음을 참지 못하고 손뼉까지 치는 것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15. 배은망덕
背恩忘德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은혜를 잊거나 감사하지 않고 오히려 원망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배은 : 은혜를 잊고 배신하는 것
망덕 : 은혜를 잊어버리는 것
16. 백골난망
白骨難忘
"죽어서 백골이 되어도 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큰 은혜나 덕을 입었을 때 고마움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17. 부창부수
夫唱婦隨
"남편이 노래하면 아내가 따라 부른다는 뜻" 서로 호흡을 맞추고 화합하는 부부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18. 사필귀정
事必歸正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이치로 돌아간다" 한국 속담으로 세상의 모든 일들은 결국에는 정의로운 결과로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삼국사기: "하늘은 굽힘이 없으니 선을 행하면 복이 오고 악을 행하면 화가 온다"
서경: "정의가 있으면 나라가 번영하고 정의가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
동국이상국집: "하늘은 착한 사람을 돕고 악한 사람을 벌한다"
19. 살신성인
殺身成仁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인의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목숨을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도리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리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는다는 용기와 정신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20. 상전벽해
桑田碧海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으로 세상 일이 세월에 따라 변화가 심하다는 뜻입니다.
유래
상전벽해의 유래는 중국 진나라 때 도사 갈홍(葛洪)이 지은 『신선전(神仙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마고라는 선녀가 신선 왕방평에게 자신이 신선을 모신 지가 오래되어 뽕나무밭이 세 번이나 푸른 바다로 변했다고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21. 새옹지마
塞翁之馬
"변방에 사는 노인 새옹의 말" 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 불가능 하며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새옹지마는 단순히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번갈아 일어난다는 것을 넘어 세상의 모든 일에는 예상치 못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변화는 언제든지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행복과 불행은 서로 뒤바뀌어 나타날 수 있으며 오늘의 불행이 미래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22. 선견지명
先見之明
"앞서 내다보는 뛰어난 견식" 을 의미합니다. 미래를 예측하거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현명하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23. 설상가상
雪上加霜
"이미 어려운 상황에 더욱 어려움이 겹쳐 힘들어지는 것" 을 의미합니다. 눈 위에 서리가 내린다는 것으로 겨울철에 쌓인 눈 위에 더 추운 서리가 내려 쌓여 더 힘들어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24. 수수방관
袖手傍觀
"팔짱을 끼고 그거 지켜만 보고 있는 것" 을 뜻합니다. 해결해야 할 일에 관여하거나 도움을 주지 않고 그대로 내버려 두는 것을 말합니다.
25. 아비규환
阿鼻叫喚
"다수의 사람들이 비참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 을 말합니다. 아비지옥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덟 지옥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지옥으로 잠시도 고통이 쉴 날이 없다는 뜻의 무간지옥이라고도 불립니다.
26. 아전인수
我田引水
"자기 논에만 물을 대는 것" 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행동을 비판하는 한자성어 입니다.
27. 어부지리
漁夫之利
"두 사람이 서로 다투는 사이에 제3자가 이득을 얻는 것" 을 의미합니다. 낚시꾼이 물고기를 잡는 것처럼 노력하지 않고 남의 다툼에서 이득을 취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28. 유유상종
類類相從
"비슷한 종류의 것들이 서로 모여 있는 것" 을 의미하는 고사성어 입니다. 비슷한 종류의 것들이 서로 어울려 다니고 모인다 라는 뜻입니다.
29. 이심전심
以心傳心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한다" 는 뜻으로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서로의 생각을 알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30. 인과응보
因果應報
"인과 과가 서로 응보 한다는 뜻" 으로 불교에서 행위의 선악에 따른 결과를 말하는 것입니다. 선한 행동은 좋은 결과를 악한 행동은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는 뜻입니다.
31. 일장춘몽
一場春夢
"한바탕의 봄 꿈" 이라는 뜻으로 덧없고 허무하게 사라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유래
당나라 시인 두목의 시 "남가 태수"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시에 등장하는 순우분이라는 인물이 꿈에서 남가 태수가 되어 영화를 누리다가 깨어나니 모두 꿈이었다는 내용입니다.
32. 일취월장
日就月將
"날마다 달마다 성장한다" 는 뜻으로 한문이나 덕행이 빠르게 발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 입니다.
자승자박
自繩自縛
"자신의 줄로 자신을 묶는다" 는 뜻으로 자신의 한 말과 행동에 스스로 얽매어 곤란하게 되거나 괴로움을 당하는 뜻입니다.
33. 적반하장
賊反荷杖
"도둑이 오히려 매를 든다" 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잘한 사람을 나무란다는 뜻입니다.
34. 전전긍긍
戰戰兢兢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것" 을 의미합니다.
35. 점입가경
漸入佳境
"점점 들어갈수록 그 아름다운 경지나 상황의 재미가 더욱 빼어남" 이라는 뜻
중국 동진(東晉) 시대 화가 고개지(顧愷之)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고개지가 그림을 그리다가 오랜 시간 소요되자,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겼습니다. 그러자 고개지가 "점점 갈수록 단맛이 강해지기 때문이지(漸入佳境)."라고 대답했습니다.
이 일화에서 비롯되어 '점입가경'은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36. 조삼모사
朝三暮四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
유래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저공)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고 하자 원숭이들은 화를 냈습니다. 그러자 저공이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라고 하자 원숭이들은 기뻐했습니다. 이처럼 순간적인 이득이나 손실에만 집착하고 장기적인 결과를 생각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합니다.
37. 주객전도
主客顚倒
"말 그대로 주인과 손님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었다는 뜻" 으로 본래 중요하거나 앞서야 할 것이 오히려 뒤로 물러서고, 부차적이거나 뒤에 와야 할 것이 앞으로 나서는 것을 의미합니다.
38. 죽마고우
竹馬故友
"어릴 때부터 함께 자라면서 오랫동안 친하게 지내온 친구"
39. 중구난방
衆口難防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중구난방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러 사람들의 정당한 요구는 결국 받아들여진다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40. 천고마비
天高馬肥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가을은 풍요로운 계절이다 라는 긍정적인 의미입니다.
41. 호사다마
好事多魔
"좋은 일에는 뜻하지 않은 나쁜 일이 많이 생긴다." 는 뜻으로 좋은 일이 일어날 때에는 그만큼 어려움이나 방해가 따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좋은 일이 꽃이라면 그 꽃잎 사이사이에는 가시가 많이 있다는 비유와 같습니다.
42. 화룡점정
畵龍點睛
"용 그림에 눈동자를 그려 넣어 생명을 불어 넣는다" 는 뜻
유래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화가 장승요가 금릉의 절에 용 두 마리를 그렸는데, 한 마리에는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이 왜 그랬냐고 묻자 장승요는 "눈은 용의 영혼이니 마지막에 그려야 한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마지막 용 그림의 눈동자에 점을 찍자, 용 그림이 살아 움직이며 하늘로 날아올랐다고 합니다.
43. 마이동풍
馬耳東風
" 말의 귀에 동쪽 바람이 스쳐 지나가는 것처럼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 을 비유하는 말
44. 막상막하
莫上莫下
"막상막하"는 높고 낮음이 없다는 의미로, 여러 사람 또는 사물의 실력이나 수준이 비슷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입니다.
45. 막역지우
莫逆之友
"거슬릴 것이 없다"라는 뜻의 한자성어로, 서로 마음이 잘 맞고 털어놓고 지낼 수 있는 매우 친한 친구를 의미합니다.